여성과 남성의 갱년기는 중년 이후 생리기능의 변화와 호르몬 수준의 변화로 인해 다양한 신체적, 사회적 변화를 경험합니다. 이러한 변화들은 개인차가 있지만, 많은 사람들에게 미치는 영향이 큽니다. 이에 따라 갱년기에 관련된 궁금증과 관심이 늘고 있습니다.
1. 갱년기 용어 뜻
완경(완경) : 마지막 월경 이후 1년 이상 월경이 없는 상태. '폐경'을 긍정적이고 부드러운 어감으로 순화한 말. 월경이 완성되었다 등의 의미를 담고 있다.
갱년기 : 대체로 45세~55세. 난소의 노화에 의해 배란 및 난소 호르몬 분비가 저하되기 시작하는 시점으로부터 마지막 생리 후 1년까지의 기간. 폐경전기에는 월경주기가 23~25일로 단축되고, 주폐경기에 월경주기의 변화가 현저히 초래(21일 이하의 짧은 월경주기와 45일 이하의 긴 월경주기)되며 배란이 중단 또는 불규칙하게 된다. 최종 월경 후 1년 동안 월경이 없으면 완전한 폐경으로 간주한다.
2. 갱년기 증상
증상은 아래와 같다.
- 핫플래시(급작스런 체온 상승) : 갑자기 몸이 뜨거워지는 현상. 특히 얼굴, 상반신에 열이 느껴지며 땀이 나고 심한 경우 식은땀을 흘릴 수 있다. 야간에도 발생하며 수면장애를 유발할 수 있고 호르몬 수준 변화에 따라 발생되며 개인차가 있다.
- 생리량 감소 또는 불규칙 생리
- 기억력 감퇴 및 집중력, 판단력 저하, 신경과민 등 마음이 혼란하고 기운이 없으며 침체된 기분으로 의욕이 없어진다.
- 우울감 또는 불안
- 홍조 : 주위의 자극이나 변화(전화 벨소리, 더운 커피나 차, 초인종, 자극적인 음식)
- 두통, 무딘 감각, 얼얼하게 쑤심, 수족냉증, 심계항진, 현기증, 졸도 등
- 골 관절계 증상 : 요통, 어깨, 팔꿈치, 손 관절 등이 저리거나 심한 관절통과 근육통
- 뼈 밀도 감소와 골다공증 위험 증가 : 에스트로겐 결핍으로 골형성이 억제, 골흡수는 촉진되어 골소실이 가속화된다. 장내 칼슘 흡수 저하로 혈중 칼슘 농도가 저하되면 뼈에서 칼슘 유출이 일어나 골밀도가 저하된다.
골다공증은 대개 폐경 후 15~20년 사이에 발생, 특징적 증상 : 키가 작아지고, 척추후만증(kyphosis)이 있으며 X-선 촬영과 골밀도 검사에서 탈칼슘화현상을 볼 수 있다. *척추후만증(kyphosis) : 척추의 비정상적인 전방 만곡으로 인해 허리가 둥글거나 움푹 들어간 상태를 특징으로 하는 질환. 심각도에 따라 통증, 호흡 또는 소화장애 유발.
- 요실금, 위축성 질염, 성교통, 외음 소양증, 배뇨 시 작열감
- 심혈관계 질환(심근경색, 협심증, 심혈관성 고혈압)
- 피부 늘어짐, 얇아짐, 주름, 모발 감소 등
3. 마지막으로
갱년기 시기에는 대체로 자녀의 취업, 독립, 결혼 등으로 가족체계와 역할의 변화가 초래되어 부부생활의 재적응기를 맞게 되며, 이것이 또 하나의 위기가 될 수 있으나 자아전념, 자아도취의 시기로써 자신의 생을 돌아보고 몸과 마음을 새롭게 이해하고 삶의 다음 단계를 준비하는 시기가 될 수 있다. 자기 관리를 위해 긍정적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자기를 소중히 여기고 행복한 삶을 위해 행동하는 것은 그 가치를 높이는 중요한 선택이다.
참고문헌
여성건강간호학 II,
지식백과 참고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926865&cid=51007&categoryId=51007
폐경이행기 및 폐경
폐경이행기: 난소의 노화에 의해 배란 및 난소 호르몬 분비가 저하되기 시작하는 시점으로부터 마지막 생리 후 1년까지의 기간, 폐경: 무월경이 1년간 지속될 때. [정의] 여성이 나이가 들면서 난
terms.naver.com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급성편도염 원인 증상 (0) | 2024.04.29 |
---|---|
자궁근종 크기와 원인, 증상 크기별 치료 (0) | 2024.04.18 |
임신 중 출혈의 원인 전치태반 증상 제왕절개 (0) | 2024.04.11 |
자궁경관무력증의 원인, 증상, 진단 및 관리 임신 자궁경부길이 조기진통 (0) | 2024.04.04 |
태아 유산의 종류와 증상, 원인 (0) | 2024.04.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