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임부의 30~40%는 임신 전반기에 약간의 출혈이 있을 수 있으며 이 중 자연유산이 일어나기도 한다. 유산의 기준으로는 태아의 몸무게가 사용된다. 조산과 유산을 구별하는 기준에 이용된다. 일부 유럽 국가에서는 1000g 이하를 유산으로 정의하기도 한다. 우리나라에서도 500g의 신생아를 살렸다는 보고도 있다.
1. 유산 Abortion :
임신 초기에 태아가 자연적으로 또는 의도적으로 임신이 종결되는 것을 의미한다. 대략 20주 이상의 주수에서 사망한 태아를 분만하는 경우 사산이라 한다.
─ 원인 : 매우 다양하다. 내분비 이상, 면역학적 요인, 감염, 전신성 질환, 유전적 요인, 나이, 산과력(분만 후 3개월 이내 임신), 자궁견관 무력증, 생식기계 이상, 만성 소모성 질환, 영양결핍 등이다.
2. 절박유산 (threatened a.)
태아의 심장박동이 발견되며, 하혈 또는 자궁경부의 확장은 발생하지 않은 경우를 의미한다. 이 상태의 유산을 겪은 50%의 임산부가 이 시기를 넘기고 정상적인 분만을 한다. 소량의 출혈 및 복통을 수반. 경과를 지켜보며 절대안정 및 신속한 치료, 휴식이 중요하다. 그 외 월경예정일에 약간의 출혈이 있는 경우 생리적 현상으로 볼 수 있다.
3. 자연 유산 (Spontaneous a.)
의학적 시술을 하지 않은 상태에서 임신 20주 이전 임신이 종결된 상태. 임상적 상태에 따라 절박유산, 불가피유산, 불완전유산, 계류유산, 감염유산, 완전유산, 반복유산(습관성 유산)이 있다.
4. 인공 유산 (Induced a.)
태아가 생존 능력을 갖기 이전의 임신 시기에 약물적으로 또는 수술적으로 임신을 종결시키는 시술
5. 완전 유산 (Complete a.)
하혈과 자궁경부의 확장이 보이고 태아와 태반의 전부가 배출된 경우. 3~4개월 이후 다시 임신을 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6. 불완전 유산 (Incomplete a.)
임신 10주 이전에 유산되는 경우는 대부분 태아와 태반이 동시에 배출되지만 그 이후에는 따로 배출되는 경우가 많다. 태반의 일부 또는 전부가 자궁 내에 남아 있는 경우로 자궁경련과 출혈이 심한데, 이는 불완전 유산의 중요한 증상이다.
7. 부분 유산 (Partial a.)
태아의 일부만이 배출되었고 나머지 태아 또는 태반이 자연적으로 또는 의도적으로 배출되지 않은 경우로 불완전 유산과 구분된다.
8. 습관성 유산 (Recurrent pregnancy loss)
연속적으로 발생하는 임신 20주 전에 3회 이상의 유산. 부모로부터 기인한 염색체 이상과 항인지질항체 증후군만이 명백한 습관성 유산 요인이라 할 수 있다. 이외에 자궁경부무력증 등의 자궁 기형, 면역학적 요인, 유즙 분비 호르몬 과분비 등이 있으며, 원인을 알기 위한 검사를 시행한 후에도 약 반 정도는 원인을 찾을 수 없어 원인 불명의 반복 유산으로 분류된다.
9. 유산의 증상
임신 6주 이전의 유산은 증상이 심하지 않아 출혈이나 통증도 아주 적으나 6~12주경의 유산은 좀 더 커진 수정란과 태반 부착 상태에 따른 중등도의 출혈과 불편감이 있다. 임신 12주 이후의 유산은 태아가 만출되어야 하기 때문에 마치 분만 때와 같은 통증이 있으며 태아가 완전 만출될 때까지는 태반이 완전 박리되지 않았으므로 착상기때의 유산에 비해 출혈량이 적다.
10. 유산의 진단
소변에서 임신반응검사가 음성이거나 약양성이며 혈액에서 출혈로 인한 빈혈이 보이고, 48시간 후 β-hCG의 수치가 떨어진다. 초음파 검사로 재태낭을 확인할 수 있다.
11. 유산의 예방
유산을 완전히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은 없다. 건강한 생활습관을 가지고 흡연이나 음주, 과한 카페인 섭취는 피하도록 한다. 임신 중 효과적인 스트레스 관리를 하며, 임신 전 건강한 체중 유지, 정기적인 검진 등 상태를 주시하는 것이 좋다.
참고문헌
네이버지식백과,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나무위키, 여성건강간호학 II
https://yeon427011.tistory.com/4
자궁경관무력증의 원인, 증상, 진단 및 관리 임신 자궁경부길이 조기진통
자궁경관무력증 Incompetent cervix은 자궁경부의 기능에 이상이 있는 상태이다. 선천적 혹은 외상으로 경관이 약화되어 습관성 유산이나 조산의 원인이 된다. 자궁경부는 임신 중에는 완전히 닫혀
yeon427011.tistory.com
https://yeon427011.tistory.com/5
임신 중 출혈의 원인 전치태반 증상 제왕절개
전치태반은 임신 중 태반이 자궁경관을 일부 또는 완전히 덮고 있는 경우로 임신 후반기에 임신부에게 통증이 없는 출혈로 갑자기 발생한다. 첫 출혈이 생명에 위험을 줄 정도로 많은 경우는 드
yeon427011.tistory.com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급성편도염 원인 증상 (0) | 2024.04.29 |
---|---|
자궁근종 크기와 원인, 증상 크기별 치료 (0) | 2024.04.18 |
임신 중 출혈의 원인 전치태반 증상 제왕절개 (0) | 2024.04.11 |
자궁경관무력증의 원인, 증상, 진단 및 관리 임신 자궁경부길이 조기진통 (0) | 2024.04.04 |
완경 갱년기 용어 뜻, 나이, 증상 (0) | 2024.03.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