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궁근종은 평활근세포에서 발생되어 근종 또는 평활근종으로 부르며, 일종의 종양이다. 자궁에서 발생하는 종양 중 가장 흔하며, 어느 연령에서나 발생가능하지만 30~45세에 호발 되고 폐경기 이후에는 대개 크기가 줄어든다.
1. 자궁근종의 원인
밝혀진 것이 없다. 자궁의 평활근을 이루는 세포 중 하나가 비정상적으로 증식하여 하나의 자궁근종을 이루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에스트로겐의 수치 변화, 비만, 생활습관이 있으며 가족력이 있는 경우 발생 위험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위치에 따라 장막하, 점막하, 근층내 근종으로 나뉜다.
2.자궁근종의 증상
증상 없이 지내는 경우가 많으나 크기나 위치에 따라 만져지기도 하며, 골반 통증, 생리통, 생리량 과다(가장 흔한 증상), 골반 압박감, 빈뇨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임신 1기에는 유산의 원인이 되며, 임신 2기에는 증상이 없던 자궁근종에 혈액순환 장애가 오면 괴사성 변성의 일종인 적색변성을 일으키고 임신 3기와 분만 시에는 출혈, 자궁무력증, 드물게 산도의 기계적 폐쇄를 초래한다. 근종이 크면 태아의 성장을 방해하여 자궁 내 성장지연, 분만 3기에 태반박리를 방해하여 산후출혈을 일으키기도 한다.
3.자궁근종의 진단
골반 내진으로도 자궁이 커진 것을 알 수 있지만 대개 초음파 검사로 진단한다.
4.자궁근종의 치료와 합병증
환자의 연령, 폐경 여부, 증상 유무, 환자의 선호도에 따라 약물, 또는 수술적 치료방법을 선택하게 된다. 대부분의 증상 없는 근종은 경과관찰을 하며, 근종이 크거나 증상을 유발하는 경우 치료를 시행해야 한다. 향후 임신을 위해 자궁을 보존하고자 하는 경우 호르몬 주사를 사용해 볼 수 있다. 호르몬 주사의 경우 일시적이며 부작용이 있을 수 있으므로 치료 전, 후 의료진과 충분한 상의 후 이루어지도록 한다.
수술적 방법으로는 자궁절제술, 근종적출술이 있으며 근종적출술의 경우 재발률이 약 50%로, 이 중 1/3 정도에서는 재수술이 필요할 수 있다.
5. 경과/합병증
자궁근종은 호르몬의 영향을 받으므로 완경(폐경)이 되면 근종의 크기가 줄어드는 경향이 있다. 반대로 임신 중에는 근종이 커질 수 있지만, 70~80%의 산모에서 크기의 변화가 없다. 자궁근종은 양성질환으로 크기의 증가가 서서히 일어나지만, 근종에 이차적 변성(초자화, 낭포화, 석회화, 감염과 화농, 괴사, 지방화, 육종화 등)이나 악성변화가 일어나면 크기가 갑자기 커질 수 있다. 악성변화는 매우 드물게 발생하며 발생률은 2/1000 미만이라고 보고되었다.
참고문헌
네이버건강백과 서울대학교 의료정보, 여성건강간호학 II
https://yeon427011.tistory.com/3
태아 유산의 종류와 증상, 원인
모든 임부의 30~40%는 임신 전반기에 약간의 출혈이 있을 수 있으며 이 중 자연유산이 일어나기도 한다. 유산의 기준으로는 태아의 몸무게가 사용된다. 조산과 유산을 구별하는 기준에 이용된다.
yeon427011.tistory.com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감기 원인, 증상 치료 (0) | 2024.05.03 |
---|---|
급성편도염 원인 증상 (0) | 2024.04.29 |
임신 중 출혈의 원인 전치태반 증상 제왕절개 (0) | 2024.04.11 |
자궁경관무력증의 원인, 증상, 진단 및 관리 임신 자궁경부길이 조기진통 (0) | 2024.04.04 |
태아 유산의 종류와 증상, 원인 (0) | 2024.04.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