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황반변성 진행을 늦추는 5가지 방법! 지금 실천하세요

by THYeoni 2025. 3. 11.
반응형

황반변성은 시력 저하를 유발하는 대표적인 망막 질환으로 조기 발견이 중요하다. 원인, 증상, 치료법 및 예방법을 알아보자.

나이가 들면서 시력이 저하되는 것은 자연스러운 현상이지만 황반변성은 단순한 노화와는 다르다. 초기에는 뚜렷한 증상이 없어 쉽게 지나칠 수 있지만 진행될수록 중심 시력이 손상되며 일상생활에 큰 불편을 초래할 수 있다. 황반변성의 주요 원인과 증상 치료법 및 예방 방법을 정리해 보자.


📖 목 차 📖
1️⃣ 황반변성이란? 시력 저하를 유발하는 대표 질환
2️⃣ 황반변성의 원인과 위험 요소
3️⃣ 황반변성 증상 체크리스트: 이런 증상이 보이면 주의!
4️⃣ 황반변성 치료법: 어떤 방법이 있을까?
5️⃣ 황반변성 예방법: 시력을 지키는 습관
6️⃣ 황반변성과 백내장, 녹내장 비교
7️⃣ 자주 묻는 질문(FAQ)

눈 이미지

 


1️⃣ 황반변성이란? 시력 저하를 유발하는 대표 질환 (진료과 : 안과)

황반변성은 망막 중심부의 황반이 손상되어 시력이 저하되는 질환이다. 황반은 빛을 느낄 수 있는 광수용체가 밀집되어 있으며, 망막의 중심부로 시력의 대부분을 담당한다. 황반 부위에 변성이 발생했다는 말은 '빛을 감지하는 고도의 기능을 가지는 황반 부위가 퇴화하여 빛을 보는 기능을 소실했다'는 말이다.

이 질환은 특히 노화와 관련이 깊어 50세 이상에서 발병률이 높지만 유전적 요인과 생활습관도 영향을 미친다.

2️⃣ 황반변성의 원인과 위험 요소

황반변성은 크게 건성 황반변성과 습성 황반변성으로 나뉜다.

유형 원인 특징
건성 황반변성 노화(약 90%), 유전적 요인, 산화스트레스 진행 속도가 느리고 비교적 경미한 증상
습성 황반변성 비정상적인 신생 혈관 생성 진행 속도가 빠르고 심각한 시력 저하 유발

✔️ 건성 황반변성의 경우 망막 밑에 드루젠이나 망막색소상피의 위축과 같은 병변이 생긴 경우를 말하며, 나이 관련 황반변성의 약 90%를 차지하고 있다. 진행이 느리지만 오랜 기간이 지나면 시력상실의 정도가 심해지고 건성의 형태는 습성으로 발전할 수 있다.
✔️ 습성 황반변성은 나이 관련 황반변성의 약 10%를 차지하며, 망막 아래에 맥락막 신생 혈관이 자라는 경우다. 진행이 빠르면 이러한 신생혈관은 약하고 터지기 쉬워 우리 눈에서 가장 중요한 황반부에 삼출물, 출혈 등을 일으켜 중심 시력을 떨어뜨리고 실명을 초래한다.

주요 원인 및 위험 요소:
🔸 노화 (50세 이상 발병 위험 증가)
🔸 유전적 요인(가족력, 스타가르트병)
🔸 흡연(비흡연자보다 2~3배 위험 증가)
🔸 고혈압 및 심혈관 질환
🔸 비만 및 불균형한 식습관
🔸 항산화제 섭취량이 부족한 사람: 항산화제와 루테인 섭취가 부족한 사람의 위험도 2배가량 높다.
🔸 한쪽 눈에 황반변성이 있는 환자 : 한쪽 눈에 발병한 환자의 42%는 5년 내 반대편 눈에 황반변성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원인 질병이 있는 경우 : 근시성(8디옵터 이상의 고도근시) 황반변성 등


3️⃣ 황반변성 증상 체크리스트: 이런 증상이 보이면 주의!

황반변성은 초기 증상이 미미하지만, 점진적으로 진행된다.
시야 중심부가 흐려짐 : 시력의 중앙부위가 다른 부위에 비해 상대적으로 어둡게 보이거나 전혀 안 보이는 작은 부위가 존재하는 경우
직선이 휘어져 보임(변형 시, 맥락막 신생혈관의 증상)
밝은 곳에서 시야가 더 어두워짐
✅ 색상이 흐려 보이거나 변색됨
✅ 어두운 곳에서 적응 시간이 길어짐

암슬러 격자(Amsler Grid) 테스트로 자가 진단이 가능하다. 한쪽 눈씩 가리고 격자 모양을 보아 선이 휘어져 보이면 안과 검진이 필요하다.  자가 테스트는 한계가 있으므로 감안하여 테스트를 진행하되 의심이 되거나 필요하다면 안과 진료를 보는 것이 중요하다.
📌 암슬러 격자, 황반변성 자가진단 방법(출처 국가건강포털)
https://100.daum.net/encyclopedia/view/145XXXXXX4510
https://100.daum.net/multimedia/145_s03_198_i03.jpg

4️⃣ 황반변성 치료법: 어떤 방법이 있을까?

황반변성은 완치가 어려운 질환이다. 하지만 다른 질환과 마찬가지로, 조기에 발견하면 조금이나마 위험인자를 줄이고, 시력저하 속도를 최대한 늦출 수 있다.
1) 생활습관 개선

▪️ 금연
▪️ 루테인, 지아잔틴이 풍부한 녹황색 채소 섭취
▪️ 규칙적인 운동 및 혈압 관리

2) 영양제 섭취
AREDS2 연구에 따르면 루테인, 지아자틴, 비타민 C, 비타민 E, 아연, 구리 등의 영양소 황반변성 진행을 낮추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 AREDS2 (Age-Related Eye Disease Study 2)는 미국보건원(NIH) 산하 국립안연구소(NEI)에서 진행한 연구로, 황반변성과 같은 연령 관련 안질환의 진행을 늦출 수 있는 영양제 조합을 검토한 임상시험이다. 황반변성 예방 및 진행 억제 영양제 조합을 개선하는 연구였다.


3) 주사치료(항혈관내피성장인자 주사, Anti-VEGF)
습성 황반변성 치료에 사용되며 비정상적인 신생 혈관을 억제한다.

4) 광역학 치료 (PDT)
광감각제를 이용해 비정상적인 혈관을 선택적으로 치료하는 방법이다.

✔️치료법은 개인의 상태에 따라 다르므로 안과 전문의 상담이 필수다.

5️⃣ 황반변성 예방법: 시력을 지키는 습관

✅ 금연 : 흡연자는 황반변성의 위험이 높으므로 금연 필수
✅ 균형 잡힌 식이보충 : 루테인, 지아잔틴, 비타민C,E, 아연, 구리, 오메가-3 지방산이 풍부한 식품 섭취
✅ 자외선 차단 : 선글라스 착용으로 눈 보호
정기적인 안과 검사 : 50세 이상은 1년에 1번 정기 검진 권장, 건성에서 습성 황반변성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해당자는 집에서 암슬러 격자를 통해 스스로 체크하는 습관이 중요하다. 사람의 눈은 두 개라 두 눈으로 그럭저럭 지내면 한쪽 눈이 나빠지는 것을 빨리 알아차리기 쉽지 않기 때문에 암슬러 격자를 냉장고 등에 붙여 한 눈씩 가리고 체크하면서 이상이 발생하면 지체 말고 안과전문의에게 확인받는 것이 중요하다.

6️⃣ 황반변성과 백내장, 녹내장 비교

질환 주요 증상 원인 치료
황반변성 중심 시야 흐림, 직선이 휘어짐 노화, 유전, 흡연 생활습관 개선, 주사치료
백내장 시야가 뿌옇게 보임 수정체 혼탁 수술로 제거
녹내장 시야가 점점 좁아짐(터널 시야) 안압 상승 약물 치료, 레이저치료

7️⃣ 자주 묻는 질문(FAQ)

Q1. 황반변성은 완치가 가능한가요?
A. 완치 방법은 없지만 조기발견 시 진행을 늦출 수 있다.
Q2. 황반변성은 한쪽 눈에만 발생하나요?
A. 초기에는 한쪽 눈에 나타날 수 있지만 대부분 양쪽 눈으로 진행된다.
Q3. 스마트폰 사용이 황반변성을 유발할 수 있나요?
A. 직접적인 원인은 아니지만 장시간 사용 시 눈의 피로와 노화가 가속될 수 있다.
Q4. 황반변성과 백내장은 같은 질환인가요?
A. 아니다. 백내장은 수정체가 혼탁 해지는 질환이고 황반변성은 망막의 중심부가 손상되는 질환이다.

참고 문헌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국가건강정보포털

루테인, 지아잔틴, 리포좀 비타민C

뉴트리원 루테인 지아잔틴 164, 50정, 3개솔가 아연 50, 100정, 1개하루틴 리포좀 비타민C 알파, 30정, 33g, 3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https://yeon427011.tistory.com/107

 

유리체박리 증상과 원인 - 비문증, 광시증이 있다면?

유리체박리는 눈 속 유리체가 망막에서 분리되는 현상으로 노화와 관련이 깊다. 증상과 치료법을 알아보고 예방 및 관리 방법까지 정리해 보았다.갑자기 눈앞에 작은 점이나 실 같은 것들이 떠

yeon427011.tistory.com

https://yeon427011.tistory.com/94

 

눈 앞 번쩍임과 망막박리, 초기 증상과 올바른 대처법

악 막은 눈 속에서 빛을 받아들이는 얇은 신경층으로 시력을 유지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하지만 이 망막이 제자리에서 벗어나 떨어지는 질환인 ‘망막박리’는 방치할 경우, 실명에

yeon427011.tistory.com

https://yeon427011.tistory.com/92

 

대표적인 당뇨 합병증, 당뇨 망막병증에 대하여

당뇨병을 오래 앓으면 시력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그중에서도 ‘당뇨망막병증’은 눈 망막에 손상을 주는 합병증으로, 시력을 잃을 수 있을 정도로 심각한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당뇨병 환

yeon427011.tistory.com

https://yeon427011.tistory.com/90

 

시야흐림과 빛 번짐, 백내장 의심하기

시야가 흐릿해지고 빛이 번져 보인다면 백내장을 의심해볼 수 있다. 백내장은 노화와 밀접한 질환이지만 적절한 관리와 치료로 시력을 회복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백내장의 증상, 수술 과정,

yeon427011.tistory.com

https://yeon427011.tistory.com/39

 

녹내장, 시야흐림이 느껴진다면? 미리 알고 대비 하는 방법.

눈 건강을 지키기 위해 꼭 알아야 할 질병 중 하나가 바로 녹내장이다. 흔히 시력저하나 피로 같은 가벼운 증상으로 느껴질 수 있지만 녹내장은 치료하지 않으면 시력을 잃을 수 있는 심각한 병

yeon427011.tistory.com

 

반응형